UAE원전 때 받은 50만달러, 알고보니 MB 계좌로
전과 14범
[연합뉴스 : 2007년 6월 27일 / “李는 전과 14범”..朴측 주장에 李측 발끈] 박 전 대표 캠프에 참여하고 있는 한 인사는 이날 기자들과의 오찬 간담회에서 “이 전 시장이 10년 전 국회에 제출한 자료를 보면 전과 14범이다. 취재해 보면 알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최근 당이 경선후보 신청을 받으면서 범죄경력 조회를 빼기로 했다”고 전한 뒤 “구의원 신청할 때는 벌금형(받은 사람)도 안된다고 하더니 이번에는 왜 뺐느냐”고 반문했다.
출처 :
http://www.yonhapnews.co.kr/
서초동빌딩 고도제한해제
[한겨레 : 2007년 7월 3일 / 서초동 빌딩’ 시장 때 용역의뢰… 퇴임직후 규제완화 통과]
이명박 전 서울시장은 지난 77년 법조단지 안 1709-4번지와 1717-1번지의 땅을 샀고, 이곳에 각각 지상 5층, 지상 2층짜리 건물을 지었다.
이 두 건물의 시가는 200억원이 넘는 것으로 추정되고, 이 후보는 이 건물들에서 해마다 8억여원의 임대수입을 얻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서울시는 2004년 11월 ‘도시관리계획 용도지역·지구 정비계획’을 마련해 서초구에 내려보냈다.
정 비계획에서 시는 법조단지 주변의 고도 제한을 5층 18m 이하에서 7층 28m 이하로 완화할 것을 제안했고, 서초구는 2006년 2월 시의 제안대로 도시관리계획을 입안해 다시 시로 올렸다. 결국 이 안건은 이 전 시장 재임 시절 사실상 모든 준비가 이뤄졌고, 임기 직후인 2006년 7월5일 시 도시계획위원회에서 원안대로 통과됐다.- 출처 :
http://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219878.html
홍은프레닝(친형과 처남 회사) 특혜
[한겨레 : 2007년 7월 16일 / 홍은프레닝 땅’ 건축제한 풀려 막대한 개발이익 가능] 이 후보는 2002년 7월1일 서울시장에 취임했다. ㈜다스 자회사인 홍은프레닝은 그 8개월여 뒤인 2003년 3월부터 같은해 9월 사이 천호동 땅 6필지를 차례로 사들인다. 그리고 같은 해 11월18일 이 땅에 인접한 곳이 천호 뉴타운지구로 지정된다. 또 이로부터 1년4개월 뒤인 2005년 3월 강동구가 이 땅을 포함한 천호역 주변에 대해 균형발전 촉진지구 지정 신청을 하고, 9개월 뒤 서울시가 이를 받아들인다. 다스의 최대주주는 이 후보의 처남인 김재정씨다. 또 형 상은씨는 다스의 대표이사다. 홍은프레닝 대표이사인 권아무개씨는 1980년대에 이 후보와 함께 현대건설에서 일했다. 권씨는 다스의 감사도 맡고 있다. 이 후보를 중심으로 다스와 홍은프레닝 관계자들이 얽혀 있는 셈이다.
출처 :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222715.html
이후보 형제 땅투기, 전국에 60만㎡ 2300억원
[경향신문 : 2007년 7월 25일 / 박근혜 측 “이명박 일가 보유땅 시가 총액 2300억원”]
한나라당 대선후보 경선에 나선 박근혜 후보 측이 이명박 후보 일가가 현재 전국 7개 시·도에 걸쳐 총 85만9243평의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고, 이는 시가로는 총 2300억여원에 이른다고 주장했다.
박 전대표측은 25일 홍사덕 선대위원장 기자회견에 맞춰
관련 자료를 공개하며 이같이 주장했다.
이혜훈 박근혜 후보 선대위 공동대변인은 “현재까지 이명박 후보의 친인척 일가가 보유했다고 보도된 부동산을 총정리한 것”이라며 “시가 총액 역시 언론이 보도한 해당 부동산의 시가를
그대로 합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후보 일가의 지역별 부동산 보유현황은 ▲서울 2281평
▲경기 16만7350평 ▲강원 1234평 ▲경북 18만4414평 ▲대전 802평 ▲충북 50만1342평 ▲제주 1820평 등이다.
출처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707251504051&code=910100
이후보 처남 땅투기, 전국에 224만㎡ 여의도면적
[한국일보 : 2007년 7월 2일 / 이명박 처남 전국 47곳 땅 224만㎡ 매입]한나라당 이명박(李明博) 전 서울시장의 처남 김재정씨가 지난 1982∼91년 사이 전국에 걸쳐 총 224만㎡에 달하는 땅을 매입한 것으로 알려져 투기 의혹 등 논란이 되고 있다.
2일 경향신문 보도 등에 따르면 김씨는 지난 82년 충북 옥천군 이원면 소재 임야 165만7천334㎡를 시작으로 91년까지 10년간 전국 총 47곳에서 모두 224만㎡의 땅을 매입했다.
김씨의 부동산 매입 시기는 지난 82년 현대건설 퇴직 이후 현대건설 하도급 업체를 운영하던 시기와 일치하며, 이 전 시장이 현대건설에서 사장(77~88년)과 회장(88~92년)으로 재직하던 시기와도 겹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김씨가 사들인 부동산은 각종 개발계획이 시행돼 땅값이 급등했던 곳으로, 충남 당진군 임야(1만2천396㎡)의 경우 서해안이 매립되고 한보철강이 들어오면서 매매가가 크게 오른 것으로 전해졌다.
또 김씨는 이같이 많은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수억원대의 빚을 갚지 못하거나 세금도 제대로 내지 못해 수차례나 자택 가압류를 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 :
http://news.hankooki.com/lpage/politics/200707/h2007070211104721060.htm
개발정보취득부동산투기
[데일리서프라이즈 : 2007년 2월 21일 / 이명박, 이번엔 부동산 폭로… 결국 올 것이 온건가?]
신동아는 서초동 꽃마을 투기 논란을 비롯해 강남구 도곡동 1313평 은닉논란, 처남과 관련된 두 회사(건설회사 및 다스) 및 김경준 사건 논란 등 이 전 시장의 재산은닉 의혹을 제기했다.
신 동아에 따르면, 1993년 9월 사상 처음으로 국회의원 재산공개를 실시하면서 이 전 시장(당시 의원)이 신고한 재산은 274억 2000만원. 그의 재산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한 것은 부동산으로 당시 빈민촌이었던 ‘서초동 꽃마을’ 인근에 4개의 부동산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
이명박의원 150억대 땅은닉
무주택직원용현대아파트 친인척불법분양사건
[서울신문 : 2007년 7월 19일 / 왜 특혜분양인가]
이 후보는 80년 1월29일 76동 401호(245.5㎡·80평형)를 한국도시개발과 매매하는 형식으로 분양받았다.
당시 이 후보는 서울 중구 필동 3가 63 주택을 보유한 상태라 무주택 사원용 아파트의 분양대상자가 아니었다.
77년부터는 현대건설이 보유한 현대아파트 11동 1502호(198.41㎡·65평형)에 거주한 것으로 돼 있다.
당 시 코오롱상사 사장이었던 형 이상득 한나라당 국회부의장도 현대그룹 사원용 아파트 80동 904호(196.70㎡·65평형)를 79년 3월 한국도시개발에서 소유권을 이전받았다.분양가는 2890만원.그는 85년 12월17일 이 아파트를 제3자인 윤모씨에게 넘겼다.장인 김씨도 78년 9월30일 사원용 현대아파트 87동 305호(144.7㎡·48평형)의 소유권을 한국도시개발에서 넘겨 받아 살다가 84년 5월30일에 팔았다.
당시 분양된 아파트는 35평,48평,52평,65평,80평형 규모였다.이 후보 가족은 평형별로 골고루 분양받은 셈이다.당시는 아파트 투기 광풍이 불어 아파트값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었다.72년 평당 27만 2000원이던 아파트값이 78년 7월 평당 70만원으로 올랐다.78년 1월에 평당 47만 7000원이던 아파트값이 5개월 사이에 45%인 21만 5000원이나 뛰었다.압구정동에도 ‘부동산 붐’이 불어 현대아파트도 78년 10월 입주를 앞두고 프리미엄이 붙어 평당 가격이 당초 분양가인 44만원의 두 배를 웃돌았다.
출처 :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70719006002
근로기준법 위반 불구속입건
[동아일보 14면 1991년 6월 14일]
부당하게 전직발령된 그룹통합홍보실 사보편집 담당직원인 김석기씨(당시 32세, 여)에 대한 노동부의 원직복직명령을 받고도 이를 이행하지 않은 혐의로 고발.
(91.06.14 서울지방노동청)
2억 수뢰의혹
[연합뉴스 1993월 6월 30일]
검찰에 따르면 美林건설 대표 安씨는 지난 91년 당시 부산시 주택기획계장 朴昌範씨(40.구속.부산시의회 전문위원)에게 2천8백50만원, ㈜현대건설 부산지사장 金南鍾씨(48.구속.현대건설 총무이사)를 통해 부산시 주택기획과장 金性一씨(수배)에게 3천만원을 건넨 것 외에 부산시 柳모국장도 5백만원을 받은 혐의를 잡고 柳국장을 소환,조사키로 했다는 것.
검찰은 또 柳국장 등 고위 공무원들의 수뢰 근거로 지난 91년 6월 대표 安씨가 金이사에게 보낸 편지에서 “현대건설 사장 李明博씨 등 명의의 통장에 2억여원을 온라인으로 송금했고 아파트 사업승인을 받기 위해 부산시 주택국장, 주택과장 등에 모두 15억원 상당의 로비자금을 뿌렸다”는 내용을 공개.
(93.06.30 부산지검 동부지청)
자동차보험사기(사고대리처벌)
[월간조선 : 1997년 신년호 / 이명박 의원 (서울 종로, 신한국당, 재경위, 재선, 55세)]지난 14대 전국구 의원으로 등원하자마자 불성실한 재산공개로 도덕성에 큰 타격을 입었다.
재산공개 6일 전 시가 13억원짜리 압구정동 현대아파트를 都모씨 명의로 급히 소유권 이전 등기를 했고, 서초동 금싸라기 땅 위에 있는 건물을 지번과 규모도 밝히지 않은채 5억 9천만원으로 신고, 비난이 쏟아졌다.
이 러한 전력에도 불구하고 지난 15대 총선 당시 정치 1번지 종로에 출마, 이종찬, 노무현 등 야권의 대표주자를 꺾어 기염을 토하며 재기에 성공했으나, 자신의 선거기획담당 참모 김유찬씨가 6억8천만원의 선거비를 썼다고 폭로하자 급격히 곤두박질했고(선거법 위반으로 국회의원직 박탈) 뒤이어 김씨를 해외도피시켰다는 의심을 받아 일패도지(一敗塗地)로 끝났다.
또한 14대 의원 당시 자신의 차를 몰고가다 민자당 장모 의원의 비서관 김종만씨의 차와 충돌했으나 자신의 운전기사가 운전한 것으로 사고를 날조하여 보험처리했다는 사실이 밝혀지자 막다른 궁지에 몰렸다.
등원 초부터 숱한 물의를 빚어 원내활동은 형식적 활동에 그쳤다.
실물경제 경험을 바탕으로 한 현실적 정책대안을 제시하리란 기대는 애초부터 무리. ..
[오 마이뉴스 : 2007년 7월 19일 / 의원시절 교통사고 '조작' 논란…]한나라당 후보 검증위원을 맡은 인명진 목사는 “1995년 모 주간지에 실린 <기자가 본 14대 국회의원>이라는 기사에 '이 후보가 의원 시절 차를 몰고 가다가 교통사고를 냈는데, 후보가 아니라 운전기사가 차를 몬 것으로 조작해서 보험 처리를 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며 사실 관계를 캐물었다.
출처 :
http://www.ohmynews.com/articleview/article_view.asp?at_code=423406
임대소득축소신고 소득누락 횡령탈세의혹
[한겨레 : 2007년 7월 19일 / 이명박 후보 소유, 400억대 강남 빌딩 3채 임대수입이 5억?]
이명박 한나라당 경선 후보가 서울 강남에 갖고 있는 건물 세 채에서 벌어들이고 있다고 밝힌 임대 수입이 통상적인 임대업자들의 수입보다 턱없이 낮아, 임대 수입 축소 신고 의혹이 불거졌다.
한 부동산 개발회사 사장은 “임대업자들은 보통 수익률 5~7% 가량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통상적인 경우라면 이 후보 임대 수입이 연간 20억~32억원이라는 얘기다.
서울 여의도에 건물을 여러 채 갖고 있는 한 임대업자도 “400억원을 은행에 예치하면 한해 20억원 이상의 이자가 나온다는 점에서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출처 :
http://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223405.html
수백억재산가 건강보험료 13000원
자녀외국대학기부입학 외화밀반출혐의
[매일경제 : 2007년 09월 19일 / 이명박후보 자녀 3명, 美대학 기부입학 의혹]이 후보 아들이 2002년 군 복무를 마치고 미국 대학에 입학할 때 기부입학 TO(정원)로 입학했는지, 기부금은 얼마나 냈는지를 상세히 밝혀야 한다”며 기부금 규모와 자금조달 내용 공개를 요구했다.
김 의원은 또 “이 후보 두 딸도 1990년대 초 미국 줄리아드음악원에 입학했는데 그때도 기부입학인지, 기부금은 얼마나 냈는지를 밝히라”고 주장했다.
그는 특히 “도곡동 땅 매각대금 중 2002년 7월부터 올해까지 15억원이 현금으로 인출됐는데, 도곡동 땅 매각대금 인출 시기와 아들 유학 시점이 일치한다”며 자금 출처에 대해 의혹을 제기했다.
출처 :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07&no=512297
형법 제228조위반 ( '공정증서 원본 등의 부실기재')
주간동아 : 2007년 7월 10일 593 호 / 이명박 형법·지방공기업법 위반]김백준 씨는 소장에서 ‘왜 LK이뱅크가 오랜 기간 김경준 씨에 대해 (법적) 행동을 취하지 않았는지’를 설명하면서 이들 이사에 대해 ‘ Who could not be located(because they were ‘fake director’)’라고 진술했다.
직역하면 ‘어디에 있는지 확인할 수 없는 사람들(위조된 이사들이기 때문)’ 이라는 뜻이다.
만일 김씨의 진술이 사실이라면 이는 명백한 현행법 위반이다.
형법 제228조 ‘공정증서 원본 등의 부실기재’ 조항 등에 따르면 ‘등재된 이사가 허무인일 경우’ 5년 이하, 1000만원 이하 벌금형에 처하도록 돼 있다.
그 렇다면 이 같은 불법행위에 대한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 것일까.LK이뱅크는 이 전 시장이 직접 만든 회사다. 2000년 2월18일작성된 회사 정관을 보면 회사 설립 당시 이 전 시장은 39만9997주를 보유한 최대주주다.당시 공동발기인이던 김경준 씨와 김백준 씨가 보유한 주식은 각각 1주에 불과했다. 초기 자본금 20억원을 전액 이 전 시장이 부담했던 것이다.
출처 :
http://www.donga.com/docs/magazine/weekly/2007/07/04/200707040500024/200707040500024_1.htm l
BBK주가조작사건
LKe뱅크주식양도세3억3천만원탈세
[뷰스엔뉴스 : 2007년 10월 22일 / <주간 동아> 이명박 2001년 3억8천만원 탈세]<주간 동아>는 지난 20일 발간된 최신호를 통해 잡지 표지란에 <단독 확인 이명박 세금탈루, 안 내도 되는 줄 알았다?>:라는 제목을 단 데 이어 <이명박 , LKe 뱅크 주식 팔 때 세금 탈루했다>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이 후보의 탈세 의혹을 제기했다.
<주간 동아>는 기사를 통해 이명박 후보가 김경준과 함께 공동 설립한 LKe뱅크 회사 주식 66만6000여주 (액면가 5,000원)를 미국 A.M.Pappas 회사에 100억원 ( 주당 15,000원 )에 매각하여 33억3천만원의 차익을 올리고도 양도소득세, 증권거래세, 주민세 합계 3억 8천여만원을 탈루했다고 보도했다.
출처 :
http://www.viewsnnews.com/article/view.jsp?code=NAHA&seq=23520
돈세탁
[서울신문 : 2007월 12월 8일 / 美정부 “BBK 돈세탁 거쳐 141억 유출] 본지가 미국에서 진행 중인 김씨 재산몰수 소송 관련 자료를 입수한 결과 금융전문가 마거릿 킨은 “UCB은행에 있는 MAF펀드 계좌들을 매개체로 사용한 것은 전형적인 돈 세탁의 방법으로서 BBK자금추적을 더 어렵게 한다.” 고 밝혔다. 킨은 미국정부의 요청에 따라 제출한 의견서에서 BBK사건에서 나타난 ‘돈세탁에 사용되는 전형적인 방법’으로
▲국내에서 자금을 모아 현금·여행자수표 등 금융상품으로 바꿔 국내은행이나 해외은행에 예치
▲수많은 계좌를 개설해 수시로 입출금
▲해외에 페이퍼 컴퍼니 설립 등을 들었다.
한 편 킨은 다스 권승호 전무의 말을 인용해 “다스가 2000년 12월28일 BBK 하나은행 계좌로 80억원을 입금한 바로 다음날 그 돈이 1억원씩 현금과 수표로 인출됐다.”면서 “나도 은행원 생활을 했지만 돈을 이런 식으로 빼내는 것은 정말 이례적인 일”이라고 의구심을 제기했다.
출처 :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71208006012 [경향신문 : 2007년 10월 22일 / 이명박 역외펀드 이용 돈세탁 세금탈루,,]박의원은 “이후보가 대주주였던 LKe뱅크는 2001년 2월 MAF에 전환사채(CB)와 주식 150억원어치를 투자했고, MAF 자금은 AM파파스라는 투자기관으로 유입됐으며, 다시 AM파파스는 Lke뱅크 지분의 60%를 100억원에 사들이는 순환출자 고리를 형성했다”며 이후보는 MAF를 둘러싼 세금탈루 의혹을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MAF는 이후보의 동업자였던 김경준씨가 국내 투자자들의 자금을 운용하기 위해 만든 역외 펀드이다.
이후보가 대주주였던 LKe뱅크는 MAF의 전환사채를 보유해 MAF를 지배하게 되고, BBK까지 자신의 통제 아래 둘 수 있게 됐다는 것이다.
출처 :
http://news.khan.co.kr/kh_daesun/khan_arts_view.html?artid=200710221828421&code=910112&art_type=A =
이명박소유사업장건보료40개월미납
[오마이뉴스 : 2007년 10월 30일 / 300억대 자산 이명박 사장님이 영세사업자?]이 후보가 1993∼1996년까지 약 4년간 산재보험료(2007년 7월 27일자), 2001~2003년까지 3년간 고용보험료·산재보험료(2007년 10월 24일자)를 납부하지 않아 강제 추징당한 것은 그가 사회보험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를 극명하게 보여준 사례다.
한나라당 박근혜측 전재희의원 폭로,,,,
“이 후보는 대명주빌딩을 관리하는 부동산 임대업체의 대표다.
이 업체는 2001년 1월부터 상시근로자를 고용했다. 그런데 2001년 7월부터 모든 사업장은 건강보험을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한다.
하지만 이 후보는 건강보험에 가입하지 않아 2001년부터 7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당연히 내야 할 건보료를 내지 않았다.
이에 따라 근로자가 받아야 할 보험혜택까지 박탈했다.”
출처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752180
건강보험법령11차례위반
[오마이뉴스 : 2007월 11월 9일 / “이효리도 한 사과, 이명박은 왜 안해?”]“이 후보는 건강보험이 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해서인지는 몰라도, 98년 이후로 2006년까지 총 11회에 걸쳐 건강보험법령을 위반했다”고 주장했고, 변재진 보건복지부장관도 이를 인정했다.
강 의원은 “얼마전 인기가수 이효리씨가 국민연금을 체납했다는 사실이 알려졌고, 이 때 이효리씨는 이를 인정하고 솔직하게 사과했다”며
“20대의 이효리도 부끄러운 줄 알고 사과하는 마당에 60대의 대통령 후보가 아직까지 사과했다는 말은 들어보지 못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출처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760837
공직자윤리법 제22조 등 위반 (재산축소신고)
[세계일보 : 1997년 3월 27일 / 이명박의원 150억대 땅은닉, 도곡동“금싸라기 땅”현대사장때 매입] 국회의원재산공개에서 총재산이 62억3천2백40만원이라고 신고한 민자당 이명박의원(52·전국구)이 85년 현대건설사장재직때 구입한 서울 강남구 도곡동의 시가 1백50억원상당의 땅을 처남 명의로 은닉한 사실이 26일 밝혀져 이번 재산공개에서 고의로 누락시켰다는 의혹을 사고 있다.
이 의원은 현대건설사장에 취임한 77년부터 서울 강남개발붐이 시작되자 회사차원의 부동산투자를 해오다 85년부터 강남구 도곡동 165일대 현대체육관 인근 나대지 1천3백13평을 개인적으로 구입,부인 김윤옥씨(46)의 동생 재정씨(44·우방토건대표·강남구 논현동35) 명의로 등기해 놓은 것으로 밝혀졌다.
출처 :
http://www.segye.com/Service5/ShellView.asp?TreeID=1510&PCode=0007&DataID=199303271052000080 [월간조선 : 1997년 신년호 / 이명박 의원 (서울 종로, 신한국당, 재경위, 재선, 55세)]지난 14대 전국구 의원으로 등원하자마자 불성실한 재산공개로 도덕성에 큰 타격을 입었다.
재산공개 6일 전 시가 13억원짜리 압구정동 현대아파트를 都모씨 명의로 급히 소유권 이전 등기를 했고, 서초동 금싸라기 땅 위에 있는 건물을 지번과 규모도 밝히지 않은채 5억 9천만원으로 신고, 비난이 쏟아졌다.
[한 겨레21 : 2007년 7월 12일 제668호 / 고의든 실수든 공직자윤리법 어겼다.] 서울시보 제2616호(2005.2.25)엔 이 전 시장이 전년에 비해 재산이 2억884만원 줄었다고 신고한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어디에서도 하나은행에 5억원의 채무를 상환했다는 기록을 찾아볼 수 없다. 물론 186억원(2002.8.30-서울시보 제2427호)의 재산가에게 5억원은 적은 돈일 수 있다. 그러나 2005년 재산 변동사항 신고 의무 대상인 2004년 1월1일부터 12월31일까지의 재산변동액 (공직자윤리법 제6조 1항) 가운데 5억원은 가장 큰 규모다.
이 전 시장이 공직자윤리법을 어긴 것이다. 서울시 공직자 및 서울시의회 의원은 공직자윤리법 제10조(등록재산의 공개)에 따라 재산 변동사항을 공개해야 한다.
서울시공직자윤리위 관계자는 “재산 변동 신고는 강제 사항”이라고 말했다.
실 제 공직자윤리법엔 징계 조항이 있다. 공직자윤리법 제22조는 “공직자윤리위원회는 공무원 또는 공직 유관단체의 임직원이 변동사항 신고 규정을 위반해 변동사항을 신고하지 않았을 때, 이를 사유로 해임 또는 징계 의결을 요구할 수 있다”고 적고 있다.
출처 :
http://h21.hani.co.kr/section-021003000/2007/07/021003000200707120668050.html [매일경제 : 1993년 3월 27일 / 이명박의원 150억대 땅 은닉]
국 회의원 재산공개에서 총재산 62억3천2백40만원이라고 신고한 민자당이 명박의원이 85년 현대건설사장 재직때 구입한 서울 강남구 도곡동의시가 1 백50억원 상당의 땅을 처남 명의로 은닉한 사실이 26일 밝혀져 이번 재산공 개에서 고의로 누락시켰다는 의혹을 사고 있다.
출처 :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1993&no=12987 [세계일보 : 1993년 3월 27일 / 이명박의원 150억대 땅은닉/도곡동“금싸라기 땅”현대사장때 매입]이의원은 현대건설사장에 취임한 77년부터 서울 강남개발붐이 시작되자 회사차원의 부동산투자를 해오다 85년부터 강남구 도곡동 165일대 현대체육관 인근 나대지 1천3백13평을 개인적으로 구입,부인 김윤옥씨(46)의 동생 재정씨(44·우방토건대표·강남구 논현동35) 명의로 등기해 놓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의원은 85년 5월15일 도곡동 163의4 2백66평과 164의1 6백57평,164의2 2백95평등 1천2백20평을 전모씨(51)로부터 구입,토지대장에 김재정외 1인으로 소유권등록을 했으며 같은해 6월5일 169의4 93평을 현대건설로부터 소유권이전하는등 현대종합체육관옆 나대지 1천3백13평을 사들여 「김재정」 또는 「김재정외 1인」의 명의로 소유권을 이전했다.
출처(기사삭제됨) :
http://www.segye.com/Service5/ShellView.asp?TreeID=1510&PCode=0007&DataID=199303271052000080
지방공기업법 제61조(임직원의 겸직제한)위반
국가공무원법제64조(영리업무 및 겸직금지)위반, 지방공무원법제56조 (영리업무의 겸직금지)위반
[오마이뉴스 : 이명박, 국민건강보험법 총 11번 위반했다]
“이 후보가 서울시장 재임 중에 대영통상을 운영한 것은 지방공무원법 제56조도 어긴 것”이라며 “이후 이 후보의 탈세나 보험료 미납이 확인되면 엄정하게 추징에 나서야 한다”고 주문하고 나서고 야당 의원들이 이에 반발하면서 소란이 재개된 것.
지방공무원법제56조 위반 (영리업무의 겸직금지) :
①공무원은 공무 이외의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업무에 종사하지 못하며, 소속기관의 장의 허가없이 다른 직무를 겸할 수 없다.
출처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74800 6
지방세체납 6회재산압류
[서울신문 : 2007년 8월 3일 / 이후보 지방세 체납해 ‘6차례 압류’]이명박 한나라당 대선 경선 후보가 1989∼2001년 사이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현대아파트 자택 등의 지방세 수백만원 등을 체납해 부동산 5건을 6차례 압류당했던 것으로 2일 확인됐다.
이같은 사실은 이 후보가 소유했던 아파트·건물·토지 등의 폐쇄 등기부등본을 서울신문 특별취재팀이 분석한 결과 드러났다.
압류당한 아파트는 이 후보가 1980년 1월29일에 분양받은 서울 압구정동 현대아파트 76동 401호(245.5㎡·80평형).
출처 :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70803001008
고용산재보험료미납강제추징
신축주택 12년 동안 등록세 미납
[서울신문 : 2007년 8월 3일 / 등록세 어떻게 12년간 체납했나]서울신문 취재팀이 강남구 논현동 29번지 주택과 토지의 폐쇄 등기부등본, 일반건축물대장 등을 분석한 결과 이 후보는 1982년 3월 주택을 짓고 12년 8개월이나 지난 94년 11월에야 소유권 보존등기를 했다.
이 집에는 현재 아들 시형씨가 살고 있다.
지난해 12월 롯데마트가 부산과 전남 등에 신축 건물을 세워 영업하면서 등록세 5억 8900만여원을 내지 않으려고 등기를 하지 않았고 이 문제가 국회에서 제기됐다.
당 시 한나라당 유기준 의원이 건물 신축 뒤 60일 이내에 소유권 보존등기를 하지 않으면 처벌하는 부동산등기특별조치법 개정안을 제출했고 현재 국회 법사위에 계류 중이다. 유 의원은 당시 “편법으로 소유권 보존등기를 하지 않고 세금을 탈루해 조세 형평성을 침해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결국 같은 당의 이 후보가 법의 맹점을 악용해
등록세를 납부하지 않은 셈이다.
출처 :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70803006009
병역미필
[동아일보 : 2007년 7월 20일 / 이명박 “군대 가고 싶었지만 병때문에 훈련소서 퇴출당해”??]질문 ― 군대에 가지 않은 이유는….??
답변 -“군대에 무척 가고 싶었다. 논산 육군훈련소에 가서 신체검사를 받았는데 기관지 확장 등의 질환 때문에 퇴출당했다.”
질문 ― 회사 생활에 지장이 없었나. 후보의 자서전을 보면 당시 신입사원들이 정주영 현대건설 회장과 밤새 술 마시면 다 떨어져 나가고 후보 혼자 남았다고 했는데…. ????
답변 -“(입사 전) 노동자 생활을 하면서 일자리 얻는 게 소망이었다.
현대건설에 들어가 몸이 아프다고 일을 가릴 수 없었다.
내가 처한 환경에서 사주가 ‘술 먹자. 낙후되면 물러서라’고 해서 시작된 자리에서 내일 당장 쓰러지더라도 최선을 다해 끝까지 버텼다.” ㅋㅋ출처 :
http://www.donga.com/fbin/output?n=200707200147&top20=1
기자성접대의혹
[한겨레 : 2007년 2월 26일 / 김유찬씨, 정두언·박형준의원 명예훼손 고소]이광철 비서관이 국회담당 비서를 하고 있을 때 이 시장에게 관리되는 기자들이 물경 40명이었다. 기자단 비용의 관리는 친엠비계열 기자들에게 촌지와 향응, 성접대 등을 했다. 당시 이 전 시장은 자신에게 유리한 여론을 조성할 목적으로 자신에게 동조하는 몇몇 기자들을 철저하게 관리했다. 제가 그 관리 담당자였고..
최근 불거지는 이 전 시장의 후보 검증 논란에서 대부분 언론이 정도를 걷고 있다고 생각한다.
출처 :
http://www.hani.co.kr/arti/politics/assembly/192875.html
건축법위반(불법건축물건조)공개수배구속
[오마이뉴스 : 2007년 11월 7일 / “이명박, 건축법 위반으로 공개수배·구속 전력”]최재천 대통합민주신당 의원은 7일 국회 정치분야 대정부질문에서 “이 후보의 경력 중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 한 가지 있다”며 72년 6월19일자 <경향신문> 기사를 제시했다.
신문에 따르면, 이 후보는 1969년 12월~70년 5월 서울 용산구 용산동 6가 69의 14 매머드빌딩 부지에 중기공장차고 7동을 무허가로 건축했다.
최 의원은 “건축법 위반 혐의로 고발당하자 이 후보가 도주했고 공개수배가 떨어졌다. 역과 버스터미널의 공개수배자 명단에 사진과 함께 혐의사실이 공개된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759396
현대노조위원장납치 노조설립방해 노동조합법위반
[오마이뉴스 : 2007년 6월 25일 / 이명박, 88년 노조설립 방해로 기소됐었다”] 1988년 현대건설 공사관리부 직원이었던 서씨는 그해 5월 3일 노조위원장으로 선출됐으나 사흘 뒤 같은 회사 최모 관리이사와 강모 총무부장이 고용한 박모씨 등 조직폭력배들에게 납치된 바 있다.
그해 5월 17일 박씨는 경찰에 자수하며 “서씨의 사주로 '자작납치극'을 벌였다”고 주장했지만, 6월 2일 최 이사는 자신의 범행 지시를 자백했다.
이로 인해 정훈목 당시 현대건설 사장이 '서정의 납치' 사건에 대해 대국민사과를 했고 이 후보(당시 현대건설 회장)도 노조 설립 방해 혐의로 검찰의 조사를 받았다.
“검찰이 이 후보를 무혐의 처리했다”는 이명박 캠프의 설명에 대해서도 그는 “이 후보는 그때 노조설립 방해 혐의로 벌금 500만원에 약식 기소됐고, 이후 벌금형에 처해졌다. 이 후보는 납치 사건과 결코 무관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출처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418550
현대건설부도유도
[CBS노컷뉴스 : 2007년 10월 25일 / 김영주 “2001년 현대건설 부도는 이명박 책임”]25일 금융감독위원회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현대건설이 부도위기에 몰렸던 2000년에 당기순손실에서 이라크 미수채권이 차지하는 비율은 36%였고 2001년 150%였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이어 현대건설의 이라크 공사수주 시기가 이 후보가 현대건설의 국내외 경영 전반을 총괄하는 사장으로 취임한 이후인 80년부터 현대건설 회장을 퇴임한 92년 사이였다며 이명박 후보가 현대건설을 부도로 몰아넣은 장본인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출처 :
http://www.cbs.co.kr/nocut/show.asp?idx=651686 현대건설은 지난 1978~85년 이라크에서 하수처리시설·송전선·상수도· 철도 공사 등을 벌여 공사액 41억달러어치(이자·원금 합계)를 수주했으나, 이 후보가 회사를 떠난 91년엔 25억달러만 회수한 상황이었다.
현대는 지난 2005년 나머지 채권 중 80%를 탕감하고 이자·원금을 받는 조건으로 미수금 문제를 마무리지었다.
출처 :
http://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246023.htm l
분식회계
[한겨레 : 2007년 10월 27일 / 이명박 현대건설 사장때 분식회계 의혹]1970~80년대에 현대건설 사장·회장을 지낸 이명박 한나라당 대통령후보가 당시 이라크 토목사업에 대규모로 투자했다가 공사비를 받지 못하자, 이로 인한 부실을 감추기 위해 분식회계를 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김영주 대통합민주신당 의원은 26일 국회 정무위 국정감사에서 “1980년 9월 이란-이라크 전쟁이 발발해 이라크로부터 공사비를 상환받을 가능성이 낮아졌고 1990~91년 이라크-쿠웨이트전으로 미수 채권의 회수 가능성이 매우 희박해졌는데도, 이에 대한 대손충당금(회수가 불가능한 채권의 추산액을 따지는 것)을 아예 한 푼도 쌓지 않았다”며
“미수채권을 과대계상한 전형적인 분식회계”라고 주장했다.
출처 :
http://www.hani.co.kr/arti/politics/politics_general/246023.html
AIG 1조 국부유출
[KBS뉴스 : 2007년 8월 21일 / 국제금융센터, AIG는 계약때부터 매각 계획]<녹취> AIG 관계자: “건물지으면서 MOU(매각 양해각서)쓸 수 있죠.
(미리 매각 추진해서 그 시점에 팔 수 있다?) 당연히 그게 순서죠.”
매각 예상금액은 당시 가치로 2조 5천억 원, 투자비 1조 4천억 원을 빼면 1조 원 이상 남는 장사입니다.
AIG 핵심관계자는 매각 뒤 건물관리 인력만 남고 철수할 거라면서 AIG에게 국제금융센터는 부동산투자일뿐이다, 특히 서울시가 주장하는 AIG 아시아본부 이전은 처음부터 검토조차 안했다고 증언했습니다.
출처 :
http://news.kbs.co.kr/news.php?id=1411930&kind=c
조세범 처벌법 제9조 : 소득세주민세법인세증여세탈루목적 두자녀 위장취업
선거법위반 국회의원직박탈
[오마이뉴스 : 2007년 2월 16일 / 끝까지 '범인도피' 부인한 이명박]1996년 10월 9일 이명박은 형법상 범인도피 및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불구속 기소되어 97년 9월11일 1심에서 법정선거비용 초과지출 및 범인은닉 혐의에 대해 유죄 선고를 받았다.
유죄선고로 인해 국회의원 자격을 잃기 직전인, 이듬해 2월 21일 한나라당 서울시장 후보 경선 출마를 선언하며 의원직을 사퇴했다.
이명박은 1998년 4월28일 서울고법에서 열린 항소심에서도 선거법 위반 혐의로 벌금 400만원, 김유찬의 해외도피 혐의로 벌금 300만원을 각각 선고받았다.
출처 :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392761
내란선동죄
[연합뉴스 : 2007년 11월 30일 / 신당 “李 전과기록 누락”..고발방침]이명박 후보가 1964년 6.3 한일회담 반대 시위를 주도해 징역 2년에 집행유예 3년형을 선고받았고 실제 서대문 형무소에서 6개월 동안 복역한 전력이 있는데도 `전과없음'으로 신고함으로써 현행 선거법을 위반했다는 것이 신당측 주장이다.
선거법은 금고 이상의 실형을 선고받은 경우 신고토록 규정하고 있다.
중 앙선관위 관계자는 “후보자는 경찰에 전과기록을 확인해 등록서류를 제출하고, 선관위는 검찰에서 원본을 확인하도록 돼있는데 그 과정에서 이 후보가 1964년 실형을 선고받은 기록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이에 따라 선관위 홈페이지에 게재된 이 후보의 범죄경력란을 수정 공고했고, 한나라당측도 선거홍보물을 수정해서 배포해야 한다”고 밝혔다.
출처 :
http://kr.news.yahoo.com/shellview.htm?linkid=20&articleid=2007113010385453301
근로기준법위반불구속입건
정치자금법제36조위반(회계책임자 통하지 않고 월급 제공)
본인운전기사 부인운전기사 위장급여제공→[뷰스엔뉴스 : 2007년 11월 20일 / “이명박 운전기사 위장취업은 정치자금법 위반”]“지금도 운전기사를 하고 있는 신씨는 서울시장 재직 시절 관용차량 운전기사로 재직했다”며 “그는 이 후보 퇴임 후 작년 7월11일부터 지금까지 14개월 동안 대명기업 직원으로 등록돼 매달 2백20만원씩 총 3천1백20만원을 받아 세금을 탈루한 것이 건강보험공단, 국민연금관리공단 제출 자료에 나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신씨가 운전기사로 활동하면서 정치활동을 돕는 행위에 대해 신씨의 월급은 당연히 정치자금에서 지출해야 하고, 급여를 선거 회계책임자가 관리하는 회계통장을 통해 지급받아야 한다”며 “이 후보는 정치자금법 36조, 47조를 위반해 징역 2년, 4백만원 이하에 해당되는 정치자금법 및 공직선거법을 위반했다”고 주장했다.
출처 :
http://www.viewsnnews.com/article/view.jsp?seq=25112
위장전입5회
부인 기자위장공짜해외여행
[프레시안 : 2007년 12월 4일 / “이명박 부인, 기자로 위장해 공짜 해외여행”]2004년